
🔎 핵심만 콕콕
- 카카오톡이 출시 15년 만에 대대적으로 개편됩니다.
- 메시지 수정 기능, 지금탭, 폴더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될 예정인데요.
- 카나나와 카카오 에이전트, 챗GPT 등 AI 기능도 강화됩니다.
메신저 넘어 플랫폼으로, 카톡 대변신
💬 단순 메신저에서 플랫폼으로: 카카오톡이 출시 15년 만에 대대적인 개편을 진행합니다. 지난 23일 경기 용인에서 열린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이프 카카오 25'에서 개편안이 공개됐는데요. 단순한 메신저에서 탈피해 인스타그램처럼 친구들의 소식을 확인하고, 틱톡처럼 숏폼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종합 커뮤니티로 거듭나겠다는 구상이죠.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이날 컨퍼런스에서 "이번 개편은 이용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시대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려는 전략을 담은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카톡 친구 탭, 피드형으로 개편: 현재 카카오톡의 '친구' 탭은 생일인 친구와 단체방 미디어 콘텐츠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피드형 화면으로 바뀝니다. 프로필을 일일이 누르지 않아도 변경 내역과 게시물을 타임라인처럼 확인할 수 있는데요. 마치 인스타그램처럼 친구의 소식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겁니다. 또한, 카카오톡 세 번째 탭인 '오픈채팅'은 '지금탭'으로 개편돼, 숏폼 콘텐츠를 채팅창에 바로 공유할 수 있게 됩니다.
✏️ 카톡 메시지, 이젠 수정도 가능해: 채팅 기능도 대폭 강화됩니다. 카카오는 지난 8월, 메시지 삭제 가능 시간이 24시간으로 확대된 데 이어, 이번에는 메시지 수정 기능을 추가했는데요. 최초 발신 이후 24시간 안에 수정할 수 있으며, 수정된 메시지에는 '수정됨' 문구가 표시되죠.
📂 채팅방, 폴더로 관리한다: 폴더 분류 기능도 도입됩니다. 이용자는 채팅방 종류별로 최대 10개의 폴더를 만들고, 각 폴더에 최대 100개의 채팅방을 분류할 수 있는데요. 읽지 않은 메시지는 자동으로 '안읽음' 폴더에 모아지며, 해당 폴더에서 채팅방을 살짝 당기면 미리보기가 가능해지는 기능까지 추가됩니다. 읽지 않은 메시지를 AI가 요약해주는 기능까지 선보일 예정이죠.
AI로 진화하는 카카오톡
🤖 카나나로 강화되는 AI 기능: AI 기능도 순차적으로 업데이트됩니다. 카카오는 자체 AI 플랫폼 브랜드 '카나나 인 카카오톡'을 통해 카톡 내 AI 기능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일정 관리, 정보 안내, 예약 등 일상 지원은 물론, 대화 요약·보이스톡 녹음 및 텍스트화·영상 생성·사진 정리까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기존 샵(#)검색도 '카나나 검색'으로 대체되죠. 카카오는 "카나나는 범용 AI와 달리 한국어의 뉘앙스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있으며, 복잡한 대화 속에서도 맥락을 감지해 어떤 에이전트를 시행할지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 카카오 에이전트로 서비스 연동: 여러 서비스를 연결한 '카카오 에이전트' 출시도 예정돼 있습니다. 카카오 에이전트는 "선물 뭐가 있을지 추천해 줘"와 같은 이용자 요청을 인식해, 해당 서비스로 바로 연결해 주는 '툴 콜' 기능을 지원하는데요. 이를 통해 이용자는 앱을 따로 전환하거나 메뉴를 일일이 찾지 않아도 선물하기·카카오맵·예약하기·멜론 등 다양한 서비스를 바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오픈AI와 손잡은 챗GPT: 오는 10월엔 오픈AI와 공동으로 개발한 프로덕트도 공개합니다. 카카오톡 이용자는 채팅 탭 상단의 '챗GPT'를 눌러 서비스를 바로 이용할 수 있는데요. 챗GPT와 주고받은 대화나 생성된 콘텐츠는 카카오톡 채팅방에 곧바로 공유할 수 있고, 카카오톡 대화 도중 챗GPT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카카오톡에 적용되는 챗GPT는 오픈AI의 최신 모델 GPT-5로, 동일한 기능을 그대로 제공할 예정이죠.
교차하는 기대와 우려
🚀 기능은 순차적으로 적용될 예정: 카카오는 채팅방 폴더, 메시지 수정, 보이스톡 녹음·AI 요약, 지금탭·친구탭 개편 등 카카오톡 신규 기능을 23일 오후부터 순차적으로 적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메시지 수정과 채팅방 폴더는 바로 도입되고, 피드 개편과 AI 기능은 업데이트를 통해 연말까지 도입될 예정인데요. 특히 AI 관련 기능은 향후 카카오모빌리티·카카오페이 등 그룹사 서비스는 물론 요기요 같은 외부 파트너와도 연동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 업데이트 하지 말라는 이유는?: 지금까지 이용자들의 반응은 대체로 부정적입니다. '친구' 탭이 인스타그램처럼 피드형으로 바뀌면서, 친구 목록을 확인하기가 불편해졌다는 지적이 잇따르는데요. 메신저 앱에서 필수적인 프로필 확인이 더 어려워졌다는 거죠. 카카오톡이 업무용으로도 많이 활용되는 만큼, 사적으로 가깝지 않은 사람의 사진을 보게 되는 것에도 불편함을 토로합니다.
📉 주가는 하락: 시장 반응도 좋지 않습니다. 모두 기존에 예정됐던 내용으로 별달리 새로울 것이 없었다는 평가인데요. 이에 개편안 발표 카카오 주가는 하락하면서, 지난 23일엔 전 거래일 대비 4.67% 하락한 6만 3,30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