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보는 주식 정보 플랫폼
흔들리는 홈플러스, 대규모 폐점 나선다
메인 이미지
© 연합뉴스

흔들리는 홈플러스, 대규모 폐점 나선다

HEATHER
이슈 한입2025-08-19

🔎 핵심만 콕콕

  • 홈플러스가 15개 점포를 폐점하기로 했습니다.
  • 본사 직원 무급휴직·임원 급여 반납 등 자구책도 함께 내놨는데요.
  • 점주·직원·협력사 모두 혼란을 겪고 있습니다.

15개 점포 접는 홈플러스

⚔️ 칼 뽑은 홈플러스: 지난 13일, 기업회생 절차를 진행 중인 홈플러스가 전사적인 긴급 생존경영 체제에 돌입했다고 밝혔습니다. 당장 15개 점포를 단계적으로 폐점하기로 결정했는데요. 회생 절차 개시 이후 자금 압박이 더욱 심해졌기 때문이죠. 홈플러스는 2015년 MBK파트너스 인수 후 과도한 재무 부담, 온라인 전환 실패 등이 누적되며 경영난이 심화한 탓에 지난 3월 선제적으로 기업회생을 신청했습니다.

기업회생: 빚에 짓눌린 기업이 법원의 관리 아래 채무를 조정하고 사업을 정상화해 다시 살아나도록 돕는 절차입니다.

🚫 폐점 받고, 본사까지 무급휴직: 홈플러스는 전체 68개 임대 점포 가운데 임대료 협상에 진전이 없는 15곳을 폐점 점포로 선정했습니다. 대상 점포는 시흥점, 가양점, 일산점, 계산점, 안산고잔점, 화성동탄점, 울산점 등 전국에 걸쳐 있는데요. 앞서 회생 이전에 폐점이 결정된 8곳까지 합치면 전체 125개 매장 중 23개가 사라지는 셈입니다.

🆘 자구책 연장한 홈플러스: 임원 급여 반납, 본사 무급휴직 등 자구책도 내놨습니다. 홈플러스는 임원 급여 반납을 회생 성공 때까지 이어가기로 했고, 본사 직원 무급휴직도 희망자에 한해 진행할 예정인데요. 단기 자금 확보를 위한 고육지책이지만, 직원·점주의 불안감을 잠재우기에는 한계가 뚜렷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점주도, 직원도 불안 속

🌪 점주 불확실성 직격탄: 갑작스러운 폐점 소식에 입점 점주들은 당혹감을 내비쳤습니다. 구체적인 폐점 시점은 정해지지 않았고, 폐점 3개월 전에 사전 통보될 예정이라 알려졌는데요. 점주들은 불확실성 속에서 영업 계획을 세우기조차 어렵다고 토로합니다. 마땅한 대응 방안조차 없어 하염없이 본사 결정을 기다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거죠.

😰 고용 보장 사실상 어려워: 직원들도 혼란스럽긴 마찬가지입니다. 폐점을 언제 통보받을지 몰라 시한부 인생 같다는 반응까지 나오는 상황으로, 내부 동요가 큰데요. 회사 측은 폐점 시 직원들을 인근 점포로 재배치해 고용을 보장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인근 점포라 해도 출퇴근 거리가 멀어지면 생활 부담이 커질 수 있고, 특히 지방은 대체 점포가 적어 재배치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 노조와 시민단체, 강력 반발: 홈플러스 노조와 시민단체가 구성한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원회'는 지난 14일, 홈플러스 폐점 결정에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점포 폐점은 기업 가치를 스스로 훼손하는 결정이란 지적인데요. 이번 폐점이 통매각을 약속했던 대주주 MBK파트너스가 사실상 그 약속을 뒤집은 것이라고도 주장했죠. 안수용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장은 "10만 명에 달하는 노동자들, 소상공인들, 그리고 지역경제가 무너지기 전에 정부가 즉각 나서야 한다"라며 정부 개입을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홈플러스 인수합병, 앞으로는?

🥅 목표는 M&A: 홈플러스의 최종 목표는 회생 인가 전 인수합병(M&A)의 성사입니다. 인가 전 M&A는 정식 회생 인가 전에 매각을 추진하는 방식으로, 기업가치를 유지하는 데 효과적인 전략인데요. 다만, 홈플러스를 인수할 마땅한 후보가 나오지 않으면서 기업가치와 회생 가능성이 하락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 장기전으로 갈 듯: 다만, 홈플러스가 마지막 승부수로 띄운 인가 전 M&A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해 기업회생이 장기전이 될 거란 관측도 많습니다. 다음 달 10일까지 회생 계획안을 제출해야 하지만 아직 공개입찰조차 열리지 못한 상황인데요. 청산 혹은 회생절차 장기전이 지금으로선 가장 현실적인 시나리오입니다. 다만, 2만여 명 직원의 고용 문제와 업계 2위 대형마트라는 특성상, 협력업체에 미칠 파장을 고려해 법원이 청산보다는 일정 재조정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죠.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지금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말랑말랑한 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지금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최신 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필수)
(필수)

이웃 게시글

프리미엄 비즈니스・경제 콘텐츠로
어제보다 더 똑똑해진 나를 만나고 싶다면?
이슈 한입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