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보는 주식 정보 플랫폼
틱톡 두고 손잡은 미·중, 어느 기업이 인수할까?
메인 이미지
© 연합뉴스

틱톡 두고 손잡은 미·중, 어느 기업이 인수할까?

AMBER
이슈 한입2025-09-17

🔎 핵심만 콕콕

  • 미국과 중국이 틱톡 처분 문제를 두고 큰 틀에서 합의에 도달했습니다.
  • 구체적인 인수 조건이나 범위는 공개되지 않았는데요.
  •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통화 이후 윤곽이 드러날 전망입니다.

스페인에서 열린 미·중 무역협상

🤝 틱톡 합의 이룬 미·중: 미국과 중국이 틱톡 처분 문제를 두고 큰 틀에서 합의를 이뤘습니다. 지난 14일(현지 시각),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과 허리펑 중국 부총리가 미·중 4차 고위급 무역협상을 진행했는데요. 베선트 장관은 협상을 마친 뒤 인터뷰를 통해 "틱톡을 미국이 통제하는 구조로 바꾸는 것"에 대해 합의했다고 설명했죠.

🤔 구체적 조건은 안갯속: 틱톡 처분과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유력한 방안은 미국 기업이 틱톡의 미국 사업을 인수하는 것인데요. 이와 별개로 월스트리트저널 등 미국 언론은 틱톡의 알고리즘 기술 이전 여부가 최대 쟁점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중국이 그간 알고리즘 기술을 지식재산권으로 간주하고 수출 통제 품목으로 지정해 왔기 때문입니다. 

🏢 오라클, 틱톡 새 주인 될까: 틱톡을 인수할 유력 후보는 오라클입니다. 중국은 한때 친중 인사로 알려진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인수에 나서길 기대했지만, 테슬라가 전기차 판매 부진 등 여러 어려움에 직면해 있어 실현 가능성은 낮은 상황인데요. 반면 오라클은 이미 틱톡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초 백악관 행사에서 래리 엘리슨 오라클 CEO에게 직접 틱톡 인수를 거론하기도 한 만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틱톡, 왜 미국에 인수되는 거야?

🔒 안보 우려에 등장한 틱톡 금지법: 이번 틱톡 처분 논의 바탕엔 작년 제정된 ‘틱톡 금지법’이 있습니다. 틱톡은 미국 내 사용자만 약 1억 7천만 명에 달하는 인기 앱이지만, 모회사인 중국 바이트댄스가 중국 정부에 사용자 정보를 넘겨 해킹에 악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는데요. 이에 작년 4월, 미 의회는 바이트댄스가 미국 자산 지분을 매각하는 경우에만 서비스를 계속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틱톡 금지법’을 통과시켰습니다.

🕒 시행 연기된 이유는: 올해 1월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금지법 시행을 유예했습니다. 1억 7천만 명에 달하는 이용자들의 반발을 의식한 건데요. 이후 중국과 협상을 이어가며 시행일을 두 차례 더 연기했죠.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의 미국 사업을 새로운 미국 법인으로 분사해 미국 투자자가 지분의 절반 이상을 보유하고, 바이트댄스는 소수 지분만 보유하는 형태의 인수안을 중국 측에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미국의 관세에 반발한 중국 정부가 이를 거부하면서 무산됐죠.

🎯 트럼프 방중 위한 전략적 계산?: 틱톡 인수안을 반대하던 중국이 갑작스럽게 합의에 나선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방문을 염두에 둔 정치적 노림수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공개적이고 통제하기 어려운 APEC 정상회의나 백악관 회담 대신, 베이징에서 회담을 여는 것이 중국에 더 유리하다는 판단인데요. 실제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6월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중국 방문을 요청한 바 있죠. 오는 9월 말 유엔 총회에 리창 총리가 참석해 트럼프 대통령의 방중을 설득할 것이라는 예측도 제기됩니다.

 

틱톡 합의, 영향은?

📈 또 다시 오른 오라클: 틱톡 매각을 포함한 무역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됐다는 소식에 뉴욕증시는 일제히 상승했습니다. 지난 15일(현지 시각), S&P500 지수는 전장보다 0.47% 오른 6615.28에, 나스닥 종합지수는 0.89% 상승한 22,348.75에 마감했는데요. 틱톡 인수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 오라클의 주가는 3.41% 급등해 302.14달러를 기록했죠. 오라클의 시가총액은 8,585억 달러로 늘면서 미국 기업 중 시총 순위 10위로 뛰어올랐습니다.

💡 국내 협력사 주가도 상승: 틱톡의 국내 파트너사도 웃었습니다. 지난 16일, 모비데이즈는 전 거래일 대비 2.90% 오른 1,950원에 마감했고, 와이즈버즈 또한 0.57% 상승했는데요. 두 기업 모두 디지털 마케팅 및 온라인 광고 분야에서 틱톡과 협업 중인 기업이죠. 이번 합의로 틱톡의 미국 내 사업 연속성이 보장된다면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큽니다.

⚠️ 트럼프-시진핑, 19일 통화할 듯: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9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틱톡 매각뿐 아니라 관세 문제, 트럼프의 중국 방문 등을 논의할 전망인데요. 틱톡 매각과 관련된 구체적인 협상 결과는 통화 이후 공개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지금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말랑말랑한 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지금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최신 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필수)
(필수)

이웃 게시글

프리미엄 비즈니스・경제 콘텐츠로
어제보다 더 똑똑해진 나를 만나고 싶다면?
이슈 한입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