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핵심만 콕콕
- 지난 1일, 트럼프 일가가 발행한 WLFI 코인이 가상자산 거래소에 상장됐습니다.
- 이번 상장으로 약 50억 달러에 달하는 자산을 확보하게 됐는데요.
-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차남은 오는 9일 열리는 UDC 2025에 연사로 참여할 예정입니다.
WLFI 코인, 거래소 상장 완료
🪙 WLFI, 자유롭게 사고파세요: 지난 1일(현지 시각),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일가의 가상화폐 기업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이 발행한 WLFI 코인이 바이낸스, 업비트 등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에 상장됐습니다. 이에 따라 코인 보유자들은 이를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게 됐죠
💸 초기 투자자, 이익 쏠쏠: 한국 시각으로 2일 오후 6시, WLFI 코인은 현재 코인베이스에서 0.24달러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시작가였던 0.26달러 대비 8% 가까이 떨어진 건데요. 거래 시작 한 시간 만에 약 10억 달러(약 1조 4천억 원) 규모의 거래가 체결되면서 가격이 0.46달러까지 치솟았지만, 이후 매도 물량이 대거 쏟아지면서 하락했습니다. 다만, 초창기에 0.015~0.05달러에 코인을 구매한 투자자들은 큰 이익을 보게 됐죠.
😎 트럼프, 7조 원 벌었다: 트럼프 일가는 이번 상장으로 50억 달러(약 7조 원)에 달하는 자산을 손에 넣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WLFI는 이제 트럼프 일가의 가장 큰 자산으로, 이들이 수십 년간 쌓아온 부동산 자산가치를 넘어설 것"이라고 전하기도 했는데요. 이 외에도 올해 1월엔 밈 코인 '오피셜 트럼프', 3월엔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USD1'을 내놓기도 했죠. 이들 코인의 자산가치는 각각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WLF, 뭐 하는 회사길래?
🏢 WLF, 디파이 선구자 되겠다?: WLF는 작년 10월 설립된 탈중앙화 금융(디파이) 프로토콜 가상자산 기업입니다. 현재는 기존 은행 시스템을 거치지 않고 디지털 자산을 대출받거나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앞으로 WLF는 이러한 역할을 강화해 일상생활에서도 디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크립토 뱅크로 거듭하는 것이 목표죠.
디파이: 탈중앙화된 금융(Decentralized Fincance)의 줄임말로, 블록체인을 활용해 은행이나 거래소 등 중개기관 없이 이용할 수 있는 금융 상품과 서비스를 뜻합니다. 거래의 투명성과 효율성이 크게 확대된다는 장점이 있죠.
👨 트럼프 정책 수혜 톡톡: 취임 초기부터 트럼프 대통령이 가상자산 산업을 지원하는 정책을 쏟아내면서 WLF는 큰 혜택을 보고 있습니다. 시장에선 가상자산 업계에 유리한 환경에 조성되면서 앞으로 WLF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는데요. WLF는 자신들이 발행한 달러 기반 스테이블 코인 'USD1'을 기반으로 앞으로 가상자산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 트럼프, 이해상충 아냐?: 다만, 이를 두고 비판의 목소리도 거셉니다. 엘리자베스 워런 등 민주당 상원의원들은 “트럼프 가문이 월드리버티파이낸셜에 보유한 금융 자산은 전례 없는 이해 상충을 초래하고 있다”라고 경고했는데요. 트럼프가 대통령의 권한을 자신의 사업 활동에 악용한다는 비판이죠.
트럼프 차남, 아시아 시장 노린다?
🌏 에릭 트럼프, 연이은 아시아 일정: 이러한 논란에도 트럼프 일가는 가상자산 시장에서 적극적인 행보를 이어갑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차남 에릭 트럼프는 지난 29일(현지 시각) 홍콩에서 열린 ‘비트코인 아시아 2025' 행사에 참여했는데요. 그는 이 자리에서 WLF이 세계 곳곳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암호화폐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라며 아시아 시장에 대한 야심을 드러냈죠. 이어 2일엔 자신이 전략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는 일본 비트코인 재무 기업 메타플래닛 주주총회에 참석하기도 했습니다.
🇰🇷 에릭 트럼프, 특별 대담 예정: 에릭 트럼프는 오는 9일 열리는 '두나무 업비트 D 컨퍼런스 2025'(UDC 2025)에도 대담자로 참여할 예정입니다. 윤선주 두나무 최고브랜드임팩트책임자와 '금융·비즈니스·디지털 자산: 흐름과 미래 전망'이라는 주제로 특별 대담을 진행할 계획이죠. 이 외에도 UDC 2025에는 마르코 달 라고 테더 부사장, 빌랄 빈 사킵 파키스탄 정부·크립토 및 블록체인 담당 국무장관도 참여자로 이름을 올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