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보는 주식 정보 플랫폼
신림동 피자집 칼부림, 프랜차이즈 갈등 때문이었나?
메인 이미지
© 연합뉴스

신림동 피자집 칼부림, 프랜차이즈 갈등 때문이었나?

AMBER
이슈 한입2025-09-05

🔎 핵심만 콕콕

  • 지난 3일, 프랜차이즈 피자 가맹점에서 칼부림 참사가 발생했습니다.
  • 프랜차이즈 본사와 가맹점 간 갈등이 원인이라는 의혹이 제기됐지만, 본사는 해당 의혹을 부인했는데요.
  • 이번 사건을 계기로 프랜차이즈 업계의 구조적 문제가 재조명됩니다.

관악구 피자집에서 벌어진 참사

😢 대낮 피자집에서 무슨 일이: 지난 3일 오전 11시경, 서울 관악구의 한 피자 프랜차이즈 가맹점에서 칼부림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총 3명이 흉기에 찔려 사망했는데요. 피의자 A 씨는 자해로 부상당한 뒤 회복 중이죠.

🔎 단순한 묻지마 사건이 아니다?: 이후, 이 사건이 프랜차이즈 본사와 가맹점 간 갈등에서 비롯됐다는 의혹이 나왔습니다. P 피자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운영하는 A 씨는 지난 2023년 가게를 열면서 본사가 지정한 업체를 통해 인테리어를 진행했는데요. 하자가 발생하자 보수를 요구했으나, 업체와 본사 모두 이에 응하지 않으면서 갈등이 시작됐다는 겁니다. 일각에선 본사가 2년도 채 지나지 않아 인테리어 재시공을 요청한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했죠. A 씨 측은 1인 세트 메뉴를 만들라는 본사 지침을 따르지 않자 인테리어로 갑질을 했다고도 주장했습니다.

🥊 본사와 점주 간의 갈등 때문이라고?: P 피자 프랜차이즈 본사는 해당 의혹을 전면 부인했습니다. 본사 측은 "가맹 사업을 시작한 이래 단 한 번도 인테리어를 강요한 적 없다"라며 해당 인테리어 업체 역시 점주가 직접 계약한 곳이라고 반박했는데요. 직접 업체를 알아보는 걸 힘들어하는 점주를 대신해 저렴한 업체를 연결해준 것뿐이라고 설명했죠.

 

본사와 가맹점, 끊이지 않는 분쟁

😡 뿌리 깊은 문제: 이번 사건을 계기로 프랜차이즈 업계 구조적 문제가 다시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프랜차이즈 본사가 공격적인 가맹 사업으로 매출을 올리는 와중에 가맹점주의 영업 환경은 열악해진다는 지적인데요. 지난 2021년 10월 가맹사업을 시작한 P 피자 프랜차이즈도 마찬가지였습니다. 2022년 32억 원 수준이던 본사 매출이 2023년 75억 6천만 원, 2024년 85억 원으로 늘어나는 동안, 이탈 가맹점 수도 2023년 4곳에서 2024년 17곳으로 급증했습니다. 저조한 수익을 버티지 못한 가맹점의 이탈이 늘어났다는 분석이 나오죠.

🤦 갑질 피해도 여전: 프랜차이즈 본사의 갑질 또한 문제로 꼽힙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작년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 가맹점주의 절반 이상(54.9%)이 본사로부터 불공정 행위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는데요. 매출액을 부풀려 초기 투자비를 과대 포장하거나, 광고비를 본사 몫으로 전가하는 방식이 대표적이죠. 특정 품목을 필수품으로 지정해 강제로 구매하게 만드는 관행도 만연합니다.

💸 초기 창업 비용에 주기적인 리뉴얼까지?: 한편, 창업 단계에서 점주가 가장 큰 부담을 안게 되는 부분은 인테리어입니다. 서울시 가맹사업 등록 현황에 따르면, 평균 창업비용 약 1억 1,300만 원 가운데 인테리어 비용이 무려 절반에 가까운 5,150만 원(45.6%)을 차지하죠. 상당수 본사가 4~5년 주기로 내부 인테리어를 바꾸거나, 간판을 교체하는 등의 매장 리뉴얼을 사실상 의무화하면서, 억대의 추가 비용이 주기적으로 발생하곤 합니다. 규모가 큰 브랜드에서는 공사 업체까지 본사가 지정해주는 경우가 많은데요. 점주가 다양한 업체의 견적을 받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공사를 진행할 수 있는 권리까지 제한되는 겁니다.

💰 과도한 차액가맹금 논란: 원·부재료 공급 구조도 점주들의 불만을 키웁니다. 필수적으로 공급하는 재료에 본사가 시중가보다 높은 가격을 매겨 마진을 챙기는 차액가맹금 때문인데요. 매출이 늘어날수록 본사가 가져가는 몫은 커지지만, 점주의 수익성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는 구조적 불균형이 심화하고 있죠. 현재 프랜차이즈 17개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가맹 점주 2,491명이 본사를 상대로 차액가맹금 반환 소송을 진행 중일 정도입니다.

 

앞으로 개선 가능할까?

⚖️ 본사-가맹점 관계 재설정해야: 해묵은 프랜차이즈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선 본사와 가맹점 간 관계를 재설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본사와 가맹점주 단체 사이의 협상을 의무화하고, 투명한 정보 공개를 통해 정보 독점 구조를 깨야 한다는 건데요. 지난 4월, 가맹 점주 단체 등록제 도입, 프랜차이즈 본부 단체협상 의무 부여 등의 내용이 골자인 '가맹사업법 개정안'이 패스트트랙으로 지정된 만큼, 곧 제도가 개선될 것이란 기대가 커집니다.

패스트트랙: 법안이나 안건을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 지정된 절차입니다. 보통은 상임위·법사위 단계를 거쳐야 하지만, 패스트트랙으로 지정되면 정해진 기한 안에 자동으로 본회의에 올라가 표결되기 때문에 '신속 처리 안건 지정 제도'라고 부릅니다.

💰 로열티만 받는 미국과 일본: 프랜차이즈 본부의 수익 구조도 바뀌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미국과 일본 등 해외 주요국에서는 프랜차이즈 본사가 로열티만 받는 모델이 일반적입니다. 가맹점 매출의 일정 비율(5~10%)을 브랜드 사용권과 운영 노하우 대가로 받는 구조인데요. 각종 물품을 공급하면서 마진을 수취하는 차액가맹금에 비해 수익 배분 구조가 투명하고, 본사와 가맹점주 간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다는 장점이 있죠.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지금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말랑말랑한 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지금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최신 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필수)
(필수)

이웃 게시글

프리미엄 비즈니스・경제 콘텐츠로
어제보다 더 똑똑해진 나를 만나고 싶다면?
이슈 한입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