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보는 주식 정보 플랫폼
기업도, 은행도 푹 빠진 ‘스테이블코인 열풍'
메인 이미지
© Unsplash

기업도, 은행도 푹 빠진 ‘스테이블코인 열풍'

JAY
코인 한입2025-08-07

🔎 핵심만 콕콕

  • 빠른 송금과 결제를 앞세운 스테이블코인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미국에 이어 한국에서도 입법이 논의되며 시장 활성화 기대가 커지는데요.
  • 주요 기업들과 금융사들은 앞다퉈 관련 사업 및 제도 정비에 나서는 중입니다.

스테이블코인, 왜 뜰까?

🪙 안정적인 디지털 화폐, 스테이블코인: 기존 화폐를 대신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지난 7월 18일(현지 시각), 가상화폐 글로벌 시가총액은 사상 처음으로 4조 달러를 돌파했는데요.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법안인 '지니어스법'이 제정되면서 수요가 몰린 결과죠. 스테이블코인의 글로벌 시가총액 또한 지난 5일 기준 2,573억 달러를 달성하며 2,034억 달러였던 1월 1일 대비 약 26.5% 증가했습니다. 

스테이블코인: 안전성을 뜻하는 ‘Stable’과 암호화폐를 뜻하는 ‘Coin’의 합성어로, 가치 변동성이 거의 없는 디지털 화폐를 말합니다. 기존 암호화폐는 가격의 변동성 때문에 일상적인 거래나 자산 저장 수단으로 쓰기에 어려움이 있었는데요. 반면, 스테이블코인은 일정한 가치를 유지하도록 설계돼 결제, 송금, 자산 거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 스테이블코인, 장점이 뭐야?: 스테이블코인의 장점은 거래가 빠르고 저렴하며, 자유롭다는 것입니다. 신용카드를 활용하는 기존 결제의 경우, 카드 발급사, 카드 네트워크, 매입사 등 여러 중개기관이 개입하는데요. 그만큼 수수료가 비싸고 결제까지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해외 결제라도 하려고 하면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죠. 반면,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하면 이러한 중개기관 없이 구매자와 판매자가 곧바로 돈을 주고받을 수 있는데요. 수수료도 저렴한 데다가 시간도 크게 단축됩니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24시간 실시간 거래가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입니다. 은행 접근성이 낮은 국가나 지역에서도 스마트폰만 있다면 누구나 스테이블코인으로 금융 거래에 참여할 수 있죠.

📑 국내 법제화 가능성은?: 우리나라도 스테이블코인 제도화에 속도를 냅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내세운 데 이어, 지난 5월 10일에는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스테이블코인 관련 내용을 담은 ‘디지털자산기본법’을 발의하기도 했는데요.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6일 기준 총 3건의 원화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안이 발의돼 현재 국회 심의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 스테이블코인 시장 진입 본격화

🏢 네이버-업비트, 주도권 선점 나선다: 국내 대표 가상자산 거래소와 IT 기업들도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빠르게 협업에 나서고 있습니다. 지난 7월, 업비트와 네이버페이는 협업을 통해 원화 스테이블코인 결제 사업에 나선다고 밝혔는데요. 이번 협력에서 네이버페이는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주도하고, 업비트는 거래·유통 및 기술 인프라를 담당하는 구조입니다.

🤝 빗썸-토스도 손잡을까?: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은 토스와 함께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 시스템 구축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빗썸은 지난 7월, 스테이블코인 관련 상표권을 10건이나 등록하며 금융거래 서비스 및 토큰 발행을 염두에 둔 움직임을 보였는데요. 또 총 2억 원 규모의 사업 모델 공모전을 열어 파트너사 발굴에도 나선 바 있습니다. 다만, 빗썸 측은 “특정 업체와의 협력 여부는 결정되지 않았지만,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 카카오도 참전: 카카오페이도 관련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는 등 스테이블코인 시장 진입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가 공동 TF장을 맡을 예정인데요. 카카오뱅크와 카카오페이는 각각 6건, 4건의 스테이블코인 상표권을 출원하며 사업 확장 의지를 드러낸 바 있습니다. 향후 스테이블코인이 게임 등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될 경우, 카카오게임즈를 비롯한 다른 계열사들의 참여 가능성도 높다는 예측이 나옵니다.

 

금융권도 주목 중

🏦 월가는 스테이블코인 입문 중?: 지니어스법 통과 이후, 미국 금융사들도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ank of America), JP모건, 씨티, 골드만삭스 등 주요 금융사들은 직접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거나 관련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상태인데요. 비자(Visa)와 마스터카드 역시 다양한 민간 스테이블코인을 자사 결제 네트워크에 단계적으로 통합하겠다는 계획을 내놨습니다.

💡 국내 금융사들, 대응 협의체 가동: 국내 금융사들도 스테이블코인을 포함한 가상자산 대응에 본격적으로 나섭니다. KB금융 등 주요 금융사들은 은행을 중심으로 카드, 증권, 손해보험사 등 주요 계열사가 참여하는 ‘가상자산 대응 협의체’를 운영 중인데요. 스테이블 코인 관련 신사업을 계획하는 한편 계열사간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죠.

    이웃 게시글

    프리미엄 비즈니스・경제 콘텐츠로
    어제보다 더 똑똑해진 나를 만나고 싶다면?
    코인 한입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