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줄 요약
- 부동산 개발 현장에서 문화재가 발견되면, 발굴 즉시 보호 대상으로 지정돼 공사가 멈춥니다.
- 부동산 개발업체 입장에선 발굴 사업 비용, 공사 지연에 따른 부담 증가 등으로 골머리를 앓게 되는데요.
- 공평동 센트로폴리스 사례는 문화재 보존과 부동산 개발의 조화를 이룬 성공 사례로 꼽힙니다.
최근 인천 서구의 한 공공주택 개발 부지에서 깜짝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아파트를 짓기 위해 땅을 파던 중, 무려 구석기 시대 유물 7천여 점이 한꺼번에 발견된 건데요. 사실 이런 일은 생각보다 자주 벌어집니다. 개발을 위해 땅을 파다 보면 수백 년, 수천 년 전 사람들이 살던 흔적이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땅속 깊숙이 숨어 있던 문화재는 발굴 즉시 보호 대상이 되고, 사업 일정은 당연히 멈추게 됩니다. 개발업체로서는 골칫거리지만, 국가유산청(구 문화재청)이나 지자체로서는 한 번 흘려보내면 다시는 찾을 수 없는 귀중한 문화유산인 셈이죠.
그렇다면 이런 상황에서 부동산 개발은 어떻게 흘러갈까요? 문화재는 그대로 두고 건물을 지을 수 있을까요, 아니면 반드시 보존해야 할까요? 오늘 <부동산 한입>에서는 부동산 개발 도중 문화재가 발견되면 어떻게 되는지, 원론적인 절차와 실제 사례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