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줄 요약
- 미국 비자 제도는 유학생, 전문직, 투자자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으며, 경제 성장과 노동 인력 공급 도구로 기능해왔습니다.
- H-1B 비자는 실리콘밸리와 월가의 핵심 인재 공급 창구였지만, 동시에 미국인 일자리를 뺏아간다는 논란을 부르기도 했는데요.
- 트럼프 행정부는 비자 비용을 높여 미국 내 고용을 장려하는 전략을 펼치지만, 장기적으로 글로벌 경쟁력 약화 위험이 뒤따릅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전문직 취업비자인 H-1B 비자 수수료 100배 인상이라는 초강수를 두며 외국 인재 유입을 억제하려 하고 있습니다. 조지아주의 현대차·LG 배터리 공장에서 한국인 근로자 수백 명이 비자 단속에 걸려 체포되기도 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이처럼 비자 발급 제한과 이민 단속을 앞세워, 기업들이 외국인 근로자에 의존하기보다 미국 내 인력을 채용하도록 압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의 비자 제도는 역사적으로 경제 성장과 혁신을 뒷받침하는 숨은 인프라 역할을 해왔습니다. 유학생, 전문직 인력, 투자자, 기업 주재원까지 다양한 비자 제도가 마련돼 있었기에 실리콘밸리의 기술 혁신이 가능했고, 월가의 금융 경쟁력이 유지될 수 있었죠. 이번 <경제 한입>에서는 이러한 비자 체계가 어떻게 미국 경제를 지탱해왔는지, 그리고 최근 정책 변화가 어떤 파장을 불러올 수 있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