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투자자 관점의 기업 분석을 한눈에
CHATBOT
국제 금값, 하루 만에 6% 급락
메인 이미지
© Unsplash

국제 금값, 하루 만에 6% 급락

LILT
이슈 한입2025-10-23

🔎 핵심만 콕콕

  • 지난 21일(현지 시각), 국제 금값이 6% 가까이 하락했습니다.
  • 미국 기업의 3분기 호실적, 인도 휴장 등이 원인으로 거론되는데요.
  • 금값 랠리가 조정 국면에 들어갔지만, 장기적으론 상승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옵니다.

치솟던 금값, 갑자기 곤두박질

📉 하루 새 6% 급락: 지난 21일(현지 시각), 국제 금값이 6% 가량 하락했습니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12월물 금 선물은 온스당 4,109.1달러로, 전장 대비 5.7% 하락했는데요. 국제 금 현물 가격은 장중 한때 6.3% 하락하는 등 12년 만의 최대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 덩달아 폭락한 은: 금값 상승에 힘입어 덩달아 오르던 은 가격은 낙폭이 더욱 컸습니다. 같은 날, 국제 은 현물은 전장 대비 7.6% 떨어진 온스당 48.49달러에 거래됐는데요. 12월 인도분 은 선물 종가는 온스당 47.7달러로, 전 거래일 대비 7.2% 급락했습니다.

😥 국내 금값도 하락세: 국내 금값은 비슷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지난 22일, 금 1g당 가격은 전장 대비 5.47% 하락한 19만 7,490원에 거래를 마쳤는데요. 김치 프리미엄 우려에 장중 한때 7.57% 폭락하기도 했죠. 지난 16일부터 김치 프리미엄이 해소되기 시작하면서, 22일까지 국내 금값은 13% 넘게 하락했습니다.

김치 프리미엄: 한국 내에서 특정 자산이 국제 시세보다 비싸게 거래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사상 최고치 찍더니…무슨 일이야?

🚩 너무 많이 올랐어: 국제 금값은 올해 들어 약 60% 가까이 상승하며 랠리를 지속해 왔습니다. 급락하기 전날까지 금값은 현물 기준으로 온스당 4,381달러선까지 오르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기도 했죠. 이런 단기적인 가격 상승으로 고점 부담으로 이어져 이제는 조정 국면에 들어섰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 미국 기업 실적이 좋잖아?: 금값 급락 원인 중 하나로 미국 기업들의 3분기 호실적이 꼽힙니다. 지난 21일(현지 시각), 코카콜라, 3M, 제너럴 모터스(GM)는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올해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주가가 급등했는데요. 상대적 위험자산으로 꼽히는 주식의 매력이 높아지면, 금과 같은 안전자산의 선호도는 떨어지게 되는데요. 이에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 매도에 나서며 금값이 하락했다는 분석이죠.

🤝 미·중 무역 협상도 낙관적인데: 미·중 갈등 우려가 완화한 것도 금값 조정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다음 주 경주에서 열리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에서 관세 협상을 위한 회담을 가질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불확실성이 해소된 건데요. 이에 투자자들이 위험자산으로 돈을 옮기면서 금 매도세에도 속도가 붙었죠.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의 경제적 결합을 높이고자 1989년에 설립된 국제기구입니다. 매년 각 나라의 정상이 모이는 자리며, 회원국 도시 중 하나에서 열리는데요. 한국에선 2005년 부산에서 처음 열린 뒤, 2025년 경주에서 두 번째로 개최됩니다.

📅 인도 휴장도 문제였어: 인도 증시가 휴장한 것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매년 700~800톤의 금을 사들이는 인도는 중국에 이은 세계 2위 금 소비국인데요. 이런 인도의 주식 시장이 최대 힌두교 축제인 '디왈리'를 맞아 지난 21일부터 이틀간 증시 휴장에 들어갔습니다. 이에 금 매수세가 약해지면서 유동성이 약화했고, 금값 하락이 유발됐다는 분석이죠.

 

이제 어떻게 될까?

📢 미국 9월 CPI에 관심 집중: 투자자들의 시선은 오는 24일(현지 시각) 발표될 미국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로 쏠립니다. 29일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기준금리 결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지표기 때문인데요. 9월 물가상승률이 그리 높지 않으면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훨씬 커집니다. 이자를 주지 않는 자산인 금은 보통 금리가 하락하면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을 띱니다.

소비자물가지수(CPI): 일반 소비자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기 위해 구매하는 각종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나타내는 물가지수입니다. 일반 소비자 가구의 소비에 필요한 비용이 물가 변동으로 어떻게 영향받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인데요. 정부의 재정이나 금융정책 또는 기업 임금협상의 기초 자료로 활용됩니다.

☀️ 장기적으론 여전히 긍정적: 다만 증권가에선 금값이 장기적으로는 우상향 곡선을 그릴 것이라 예상합니다. 단기적으론 조정이 이뤄질 수 있지만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와 여전한 시장의 불확실성, 중앙은행의 금 매수세 지속 등이 금값 랠리를 뒷받침해 줄 것이란 지적이죠.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지금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말랑말랑한 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지금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최신 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필수)
(필수)

이웃 게시글

프리미엄 비즈니스・경제 콘텐츠로
어제보다 더 똑똑해진 나를 만나고 싶다면?
이슈 한입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