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투자자 관점의 기업 분석을 한눈에
CHATBOT
초강세 이어가는 금값, 한국 가격은 더 비싸다고?
메인 이미지
© Unsplash

초강세 이어가는 금값, 한국 가격은 더 비싸다고?

AMBER
이슈 한입2025-10-17

🔎 핵심만 콕콕

  • 국제 금값이 온스당 4,200달러를 돌파하며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 중입니다.
  • 국내 금값은 더 가파르게 오르며 '김치 프리미엄'이 발생했는데요.
  • 전문가들은 프리미엄 해소 시 투자자들이 손실을 떠안을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멈출 줄 모르는 금값의 질주

🏅 금, 올해 들어 55% 급등: 금값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날아오릅니다. 지난 15일(현지 시각), 뉴욕상품거래소에서 12월물 금 선물은 전장 대비 0.92% 오른 온스당 4,201.6달러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4,200달러 선을 넘겼는데요. 지난 1월까지만 해도 2,600달러 수준이었던 금값이 올해 들어서만 55% 상승하며 말 그대로 초강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끝없이 오르는 이유는?: 금값의 고공행진은 여러 요인이 맞물린 덕분입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하, 각국 중앙은행의 대규모 금 매입, 트럼프 관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 등이 투자 심리를 자극했는데요. 최근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로 미·중 갈등이 격화한 것도 안전자산인 금으로 자금이 더 몰리는 데 일조했죠.

🇰🇷 국내 금 시장은?: 국내 시장에서는 금값 상승 폭이 더욱 가파릅니다. 지난 15일 KRX 금 시장에서 1kg 골드바의 1g당 가격은 22만 7,000원으로, 국제 금값(19만 1,470원)보다 18.56% 비쌌는데요. 장중에는 국내외 금 시세 차이가 최대 20.5%까지 벌어졌죠. 이른바 김치 프리미엄이 과도하게 발생한 겁니다.

김치 프리미엄: 한국 내 특정 자산의 시장 가격이 해외보다 비쌀 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 금 ETF도 김치 프리미엄: 금값 강세와 함께 KRX 금현물을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도 인기를 끕니다. 대표 상품인 ACE KRX금현물과 TIGER KRX금현물에는 지난 14일과 15일 각각 750억 원, 486억 원의 개인 순매수가 몰렸는데요. 김치 프리미엄이 형성되면서 ETF 수익률이 국제 금값 상승률을 웃돈 영향입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한 달간 ACE KRX금현물 ETF는 36.10%, TIGER KRX금현물 ETF는 35.99% 상승하며 모두 30%를 웃도는 수익률을 나타냈습니다.

 

김치 프리미엄, 뭐가 문제야?

🏭 공급이 부족해: 한국거래소는 최근 국내 금값 급등과 김치 프리미엄 확대의 원인을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한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KRX 금시장에 금을 공급하려면 조폐공사의 품질 인증과 한국예탁결제원의 보관 절차를 거쳐야 해 물량 확대에 시간이 걸리는 것이죠. 수입 금은 런던금시장연합회(LBMA) 인증을 받은 업체만 공급할 수 있는데, 현재 이 기준을 충족한 곳은 LS MnM 한 곳뿐이라 공급 확대에도 한계가 있습니다.

⚠️ 과열 뒤엔 급락?: 한편, 국내 금값 급락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집니다. 국내 금 가격은 장기적으로 국제 시세에 수렴하기 때문에 프리미엄이 해소되는 과정에서 금값이 급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인데요. 지난 16일에도 국제 금값이 소폭 상승한 반면, 국내 금값은 4% 가까이 하락 마감하는 등 과열 해소 조짐도 보입니다. 앞서 지난 2월에도 김치 프리미엄이 해소되면서, 금 가격이 단기간에 15% 넘게 하락했던 만큼 불안감이 감돌고 있죠.

 

은값은 더 올랐다

🥈 은값도 45년 만에 최고치: 금값과 함께 은값도 덩달아 오르는 추세입니다. 지난 13일(현지 시각) 은 현물 가격은 전일 대비 6.73% 오른 온스당 50.43달러로 마감했습니다. 1980년 은 파동 당시 기록한 최고가(50달러)를 45년 만에 돌파한 건데요. 은값은 올해 들어 무려 73% 급등하며 금보다 한술 더 뜨는 상승세를 자랑합니다.

은 파동: 1979년 미국 텍사스의 석유 재벌 헌트 일가(Hunt Brothers)가 은을 대량으로 사들이면서 벌어진 사태입니다. 당시 10달러대였던 은값은 6개월 만에 50달러까지 치솟았지만, 두 달 뒤 다시 10달러대로 폭락했죠.

⚖️ 그만큼 위험도 크다?: 다만, 은 투자엔 좀 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은 시장은 금 시장보다 약 9배 작고 유동성이 낮아 가격 변동성이 훨씬 크기 때문인데요. 골드만삭스는 보고서를 통해 "중앙은행의 은 가격 지지 수요가 없다면 투자금 흐름이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것만으로도 조정이 유발될 수 있다"라고 경고하기도 했습니다.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지금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말랑말랑한 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지금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최신 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필수)
(필수)

이웃 게시글

프리미엄 비즈니스・경제 콘텐츠로
어제보다 더 똑똑해진 나를 만나고 싶다면?
이슈 한입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