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투자자 관점의 기업 분석을 한눈에
CHATBOT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정부 시스템 멈췄다
메인 이미지
© 연합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정부 시스템 멈췄다

JUNE
이슈 한입2025-09-29

🔎 핵심만 콕콕

  • 지난 26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 정부 24, 모바일 신분증, 국민 신문고 등 647개 시스템이 멈췄는데요.
  • 복구 시점이 불투명한 가운데, 시민 피해와 불편이 이어질 전망입니다.

배터리 불꽃에 멈춰버린 정부

😮 국가 전산망 멈춘 화재: 지난 26일 오후 8시 15분경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건물 5층 전산실에 있던 리튬이온 배터리가 폭발하면서 화재로 이어졌는데요. 불길은 발생 22시간 만인 27일 오후 6시가 돼서야 완전히 진화됐습니다.

🔥 좁은 간격에 진화 어려워: 화재는 전산실 내 무정전 전원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시작됐습니다. 배터리를 서버와 분리해 지하로 옮기기 위해 전원을 차단한 지 40분 만에 불꽃이 시작됐는데요. 배터리와 국가 전산망 핵심 서버 간 간격은 60㎝, 서버 사이 간격도 1.2m에 불과해 소방당국은 화재 진화에 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무정전 전원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UPS): 정전이나 전압 변동 시에도 전력을 공급해 일정 기간 시스템을 유지하는 설비입니다.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는 손상된 배터리가 단시간에 섭씨 1천 도까지 치솟는 '열 폭주'로 발생하는데요. 불이 쉽게 꺼지지 않고, 물에 담그는 것 외에는 뚜렷한 진압 방법이 없어 대응에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 화재 막으려다 진짜 불났다: 아이러니하게도 배터리 분리는 화재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조치였습니다. 앞서 2022년 10월 발생한 SK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톡 서비스가 중단되는 등 피해가 컸는데요. 화재 당시 배터리와 전기 설비가 같은 공간에 있어 피해가 커졌다는 지적이 나왔죠. 이에 배터리와 서버를 분리하던 중 화재가 발생한 겁니다.

 

국민 생활 직격탄 맞아

⛔ 행정 서비스 올스톱: 이번 화재로 국정자원이 운영하는 647개 업무 시스템 가동이 중단됐습니다. 그중 96개는 직접적인 피해를 본 것으로 잠정 집계됐는데요. 무인민원발급기와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정부24 등 주요 행정 시스템이 포함됐죠. 내부 행정망인 '온나라시스템'까지 멈춰 주말 근무에 나선 공무원들도 업무를 하지 못했습니다.

🛠️ 복구는 언제?: 피해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 핵심 행정서비스가 멈춘 가운데, 월요일부터 창구·민원 업무에 대규모 차질이 예상되는데요. 정부는 지난 28일부터 전산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재가동하고 있지만, 피해가 큰 96개 서비스는 복구까지 2주가량 소요될 전망이죠. 다행히 나머지 551개 서비스는 27일 서버 냉각 시스템인 항온항습기 복구가 완료되면서 순차적으로 재가동될 예정입니다.

🍁 우체국 마비에 추석 물류 비상: 추석 연휴를 앞두고 우체국 서비스가 마비되며 우편 대란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연휴 전까지 시스템이 복구되지 않으면 우편물 접수·배송이 모두 오프라인으로 처리돼 소요 시간이 크게 늘어날 전망인데요. 특히 올해 추석 명절 우편물이 지난해보다 더 늘어날 것으로 보여 부담이 커지고 있죠. 전국 우체국을 통한 일평균 접수 물량은 작년보다 4.8% 증가한 160만 건으로 예상돼 사태 장기화 시 물류 대란도 우려됩니다.

 

화재로 드러난 허술한 체계

🌗 반쪽짜리 재난복구 시스템: 한편, 이번 사태로 정부의 전산 체계의 허술함이 드러났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서버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재해복구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됐다면 전산망에 문제가 없어야 했다는 지적인데요. 정부 행정 전산망을 책임지는 국정자원 서버는 본원인 대전뿐 아니라 광주와 대구 분원에도 마련돼 있습니다. 대전 서버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광주와 대구 서버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설계됐기 때문입니다. 지난 2022년 정부는 3시간 이내에 복구할 수 있다고 호언장담했지만, 실제 화재가 발생하자 속수무책인 모습이었죠.

😡 말뿐이었던 이중화 체계: 문제는 클라우드 이중화 미비였습니다. 데이터를 지키기 위한 서버 재난복구 시스템은 갖춰졌지만, 비상시 원래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는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축하는 이중화 작업이 이뤄지지 않았던 건데요. 그 배경에 행정안전부가 해당 예산을 배정하지 못하도록 했다는 점이 드러나면서 비판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 추락한 디지털정부 신뢰: 그간 우리나라는 디지털정부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았다는 점에서 이번 사건은 더욱 충격으로 다가옵니다. 한국은 OECD 디지털정부 평가에서 2019년과 2023년 1위를 기록했으며, 작년 유엔 전자정부평가에서도 세계 4위에 올랐는데요. 그러나 이번 화재로 국가 행정의 핵심이 사실상 멈추면서 시스템 전반에 대한 의구심이 자라나고 있죠.

🥲 대통령의 공식 사과: 지난 28일, 이재명 대통령은 국정자원 화재를 두고 "국정 최고 책임자로서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라고 공식 사과했습니다. 다수의 국민에게 직접적인 불편을 끼친다는 점에서 여론의 부담을 인식했다는 지적이 나오는데요. 이어 이 대통령은 "취약 계층 지원, 여권 발급 등 중요 민생 시스템은 밤을 새워서라도 최대한 신속하게 복구하길 바란다"라며 빠른 해결을 지시했습니다.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지금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말랑말랑한 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지금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최신 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필수)
(필수)

이웃 게시글

프리미엄 비즈니스・경제 콘텐츠로
어제보다 더 똑똑해진 나를 만나고 싶다면?
이슈 한입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