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투자자 관점의 기업 분석을 한눈에
CHATBOT
한눈에 보는 주간 뉴스
메인 이미지

한눈에 보는 주간 뉴스

Byte
주간 뉴스2025-09-26

카카오톡, 15년 만에 대대적 개편

카카오톡이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15년 만의 대대적인 개편안을 공개했습니다. 카카오톡은 개편을 통해 단순 메신저에서 인스타그램처럼 친구들의 소식을 확인하고 틱톡처럼 숏폼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종합 커뮤니티로 거듭나고자 하는데요. 이외에도 채팅방들을 폴더로 분류해 관리하고, 메세지를 수정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할 예정이죠. 또한, 자체 AI 플랫폼 '카나나'를 활용해 AI 기능도 더 강화할 계획입니다.

 

두나무, 네이버 계열사로 편입된다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네이버의 계열사로 편입될 전망입니다. 네이버의 핀테크 자회사인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가 포괄적 주식 교환을 진행해, 두나무가 네이버파이낸셜의 자회사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양사는 이를 통해 원화 스테이블 코인 사업은 물론 핀테크와 AI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등 관련 사업을 빠르게 성장시키고자 합니다. 아직 양사는 구체적인 사항이 확정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지만, 시장에서는 이미 양사의 협력을 확신하는 분위기입니다.

 

엔비디아, 오픈AI에 1천억 달러 투자한다

엔비디아가 오픈AI와 AI 인프라 구축을 위해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최대 1천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오픈AI는 이번 투자를 계기로 데이터센터에 엔비디아의 GPU를 수백만 개 활용할 전망이죠. 엔비디아는 오픈AI라는 확실한 거래 상대를 확보했고, 오픈AI는 AI 반도체 조달에 대한 걱정을 덜었는데요. 다만, 엔비디아가 투자한 자금이 다시 엔비디아의 제품을 사는데 들어가는 순환 구조에 대해 우려하는 시선도 존재합니다.

 

미국 금리 내렸는데 환율은 높은 이유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하했음에도 원/달러 환율은 1,400원을 넘어섰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금리를 내렸으나, 여전히 매파적 스탠스를 취한다는 점이 원/달러 환율이 높게 유지되는 이유인데요. 또한, 한국이 미국에 약속한 3,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역시 우리나라의 외환 보유액을 낮출 수 있어 원/달러 환율에 상승 압력을 주고 있습니다. 이에 우리나라는 미국에 지속적으로 무제한 통화 스와프 체결을 요청하고 있죠.

 

미국, 비자 수수료 100배 인상할까?

트럼프 대통령이 전문직 비자인 H-1B 비자 수수료를 100배 인상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H-1B 비자가 미국인들의 일자리를 뺏는다는 지지층의 주장에 화답한 것으로 풀이되는데요. 그러나 H-1B 비자를 이용해 우수한 해외 인재를 영입하는 빅테크 기업들은 해당 조치가 미국의 기술 우위를 약화할 수 있다며 우려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H-1B 비자의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비자 제도 개선을 위한 우리나라와 미국의 협의 과정이 순탄치 않을 것이란 우려도 존재합니다.

    이웃 게시글

    프리미엄 비즈니스・경제 콘텐츠로
    어제보다 더 똑똑해진 나를 만나고 싶다면?
    주간 뉴스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