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생명공학·바이오 분야에서 자국 내 공급망과 역량을 확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중국을 더 강하게 견제하려는 움직임인데요. 국내 바이오 업계가 또다시 피해를 볼 수 있어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무슨 일이야?
지난 12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바이오산업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자국 역량을 높이는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 코로나19 중요성이 높아진 생명공학 분야에서 미국의 글로벌 기술·인프라 경쟁력을 유지하겠다는 것이 핵심인데요.
- 신약과 바이오 연료 등 생산설비·인력·인프라 확충을 통한 자국 내 공급망과 생산 역량 강화가 목표입니다.
- 이를 통해 미국 내 일자리를 창출하고 물가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는 설명이죠.
- 구체적인 투자 방안은 오는 14일, 생명공학·바이오 제조 관련 회의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자세히 살펴보자면...
이번 결정은 전기차, 배터리, 반도체에 이어 바이오산업까지 중국을 견제한다는 의미인데요. ‘메이드 인 아메리카’ 기조를 확대하겠다는 의지죠.
- 미국은 “바이오 생산이 외국 원료에 너무 많이 의존해왔다”라며 오프쇼어링(생산시설 해외 이전)이 주요 원료에 대한 접근성을 떨어뜨린다고 설명했습니다.
- 지난 몇 년간 바이오 분야의 해외 생산을 허용하며 관련 첨단기술·생산시설이 해외로 이전됐는데요. 그러자 높아진 첨단 바이오 제조시설에 대한 중국 의존도를 우려하기 시작한 것이죠.
- 이번 행정명령의 목표는 미국 내 인프라를 구축하고 공급망을 강화해 미국의 생명공학 제품을 자국에서 생산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한국에 또 불똥?
미국의 자국 중심의 생산 기조 강화에 국내 바이오 업계도 피해가 우려되는데요. 아직 구체적인 내용은 발표되지 않은데다 행정명령을 뒷받침할 예산도 분명치 않아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 이미 ‘반도체 육성법’과 ‘인플레이션 감축법’ 때문에 국내 기업에 타격이 예상되는데요. 바이오 행정명령이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 바이오 관련 제품의 해외 위탁생산이 줄어든다면 국내 기업에도 타격이 올 수 있는데요. 미국 제약회사의 코로나19 백신 등을 위탁생산해온 삼성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사이언스 등 기업에 피해가 예상됩니다.
- 행정명령에는 미국 바이오산업 보호를 위해 민간분야·관련 이해당사자와 협력할 수 있다는 내용이 있는데요. 미국의 보조금·지원금을 받은 기업의 중국 투자를 제한할 가능성이 크죠.
- 반대로 일각에서는 오히려 국내 업계가 호재를 맞을 수 있다고도 보는데요.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의 미국 시장 확대 기회를 찾을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 또한, 미국의 중국 바이오 견제가 본격화되면 오히려 국내 기업들이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전망입니다.
바이든의 결정으로 반도체에 더해 바이오 분야에서도 중국과의 경쟁이 치열해졌는데요. 국내 업계도 불가피하게 영향이 예상되는 만큼, 구체적인 내용에 주목해야겠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BYTE 콘텐츠
- 반도체 법부터 인플레이션 감축법, 이번 행정명령까지 바이든의 광폭 행보가 눈에 띄는데요. 인도-태평양 지역과의 외교를 주시하는 동시에 중국 견제 확대에도 힘을 쏟고 있죠. 바이든의 행보가 나타내는 큰 그림, 과연 무엇일까요?
👉 [DEEP BYTE] 바이든의 경제·외교 정책 한눈에 보기
- 제약시장은 누가 뭐래도 코로나19로 도약한 산업인데요. 특히, 해외 위탁생산(CMO)에 박차를 가하는 등 국내 제약업계의 성장성을 확인하는 기회가 됐습니다. 떠오르는 제약 시장, 어떻게 돌아가고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