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저기 번진 위성통신 경쟁
최근 전 세계적으로 위성 통신·우주 인터넷 사업이 급속 성장하고 있습니다. 우주 인터넷이 빠른 속도와 저지연이 중요한 차세대 이동통신 6G의 핵심 기술이기 때문인데요. 지난해 글로벌 우주 산업은 약 440조원의 시장 규모를 기록하며, 매년 5~7%가량 성장 중이죠. 특히, 러-우크라 전쟁 이후 위성 인프라 바탕의 ‘우주 데이터’ 산업도 주목받고 있는데요. 2020년 시장 규모 57억달러에서 2026년 167억달러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이에 글로벌 IT 기업은 발 빠르게 우주인터넷에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테슬라의 ‘스페이스X’와 아마존의 ‘프로젝트 카이퍼’는 저궤도위성(LEO)*을 우주로 보내며, 글로벌 인터넷망 구축을 노리고 있죠. 이에 지난 18일, KT도 국내 유일의 위성 통신 기업 KT SAT를 통해 글로벌 위성통신 경쟁에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나아가 ‘스페이스 데이터’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우주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죠.
*저궤도위성(LEO): 지구 300~1500km 상공의 낮은 고도에서 운용되는 위성. 지상과 거리가 가까워 전파 지연율이 낮고 원활한 통신이 가능하여, 6G의 핵심 기술 중 하나입니다.
우주산업에 도전장 내민 KT SAT
KT SAT는 다중궤도 위성통신을 이용한 복합통신서비스, 신기술 개발, M&A 등으로 시장 공략에 나설 예정입니다.
다중궤도(MEO) 위성통신은 정지궤도(GEO)*, 중궤도(MEO)**, 저궤도(LEO) 등 다양한 위성 시스템의 장점을 융합한 복합통신서비스입니다. 저궤도 영역의 위성통신 만으로는 테슬라, 아마존 등 해외 거대 기업에 비해 경쟁력을 갖추기 어려운데요. 다양한 서비스를 포함한 다중궤도 위성 통신을 통해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다는 것이죠. 이에 KT SAT은 지난 1월 다중궤도위성스타트업 ‘망가타‘(Mangata) 투자를 시작으로 지속적인 M&A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정지궤도(GEO): 3만 6000km 상공의 위성. 인공위성의 주기가 자전주기와 같아 정지해있는 것처럼 보이며, 주로 통신위성에 사용됩니다.
**중궤도(MEO): 2000~3만 6000km 상공의 위성으로, 주로 GPS 위성에 사용됩니다.
KT SAT는 신기술 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는데요. 올해 말 ‘하이브리드 솔루션’을 통해 위성망(저궤도, 중궤도, 정지궤도)과 이종망(5G, LTE, 와이파이)의 양방향 통신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쉽게 말해,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를 하나로 통합해 지상망 5G가 끊기더라도 위성망을 통해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 이를 통해 통신 장애에 대비하고 끊김없이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죠.
KT는 '우주 데이터 사업'을 추진 중인데요. 우주 데이터 사업은 위성 이미지 수집, 전처리, 분석·활용 등을 포함합니다. 쉽게 말해 우주에서 촬영한 영상과 이미지를 국방정찰, 도시계획, 자원생산, 해양구조 등을 다양한 산업에 제공하는 것입니다. 향후에는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하여 사업을 더욱 고도화할 방침인데요. KT는 위성 데이터를 통해 기존 데이터, 방송, TV 위주의 서비스 영역을 글로벌 위성 사업으로까지 확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스타링크와 맞서다? 협력으로 시장공략
KT SAT는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시장에 진출할 가능성이 높은데요. 현재 KT SAT가 테슬라, 아마존 등의 거대 IT 기업에 자체적으로 경쟁하기는 어렵기 때문입니다. 현재 테슬라, 아마존 등은 저궤도 위성을 중심으로 인터넷망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반면 KT가 주력하는 정지궤도 위성은 저궤도 위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고도에 위치해있어, 넓은 면적을 커버할 수 있는 대신 통신 지연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 테슬라의 ‘스타링크’는 현재 4,000여개의 위성을 저궤도 위성 사업에 투입하고 있는데요. 반면 KT SAT는 정지궤도를 중심으로 위성을 운용하는 데다, 위성 보유 규모도 작죠. 게다가 정지궤도 위성은 발사 후 최소 3천억원, 관측 위성은 1조원이 넘어가는 막대한 비용이 듭니다. 이에 위성 통신 사업에서는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이 필수적일 것으로 보이는데요. KT SAT는 지난해 말 저궤도 위성 사업을 위한‘해외 지역사업자 연합체’ 결성을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BYTE 콘텐츠
- 지난해는 우주 산업에 핫한 이슈가 많았는데요. 특히, 스페이스 X가 스타십 착륙 실험에 성공하며 우주 산업을 선도하게 되었죠. 우주 산업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 BYTE+에서 알아보세요!
👉 [기업한입] SPACE X를 통해서 본 우주 산업의 미래 - 우주 인터넷은 지상 기지국 대신 저궤도 통신위성을 사용하는 방식인데요. 항공기 업체 보잉부터 스페이스X, 카이퍼 시스템까지 다양한 글로벌 기업들이 우주인터넷 시장을 노리고 있죠. 우주 시장의 경쟁과 미래까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볼까요?
👉 우주인터넷 전쟁, 최후의 승자는?
🐹 ARI
국내 대표 우주기업인 KT SAT가 글로벌 우주산업을 선도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는데요. 최근 한컴인스페이스도 인공위성 세종 1호 발사를 통해 세계에서 유일하게 우주-항공-지상을 모두 연결하는 서비스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BYTE의 무료 비즈니스/경제 뉴스레터, 데일리바이트의 5월 20일자 뉴스레터 콘텐츠입니다. 데일리바이트 뉴스레터를 무료로 구독하시면 매일 아침 6시 메일함에서 유익한 소식들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DAILY BYTE 뉴스레터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