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투자자 관점의 기업 분석을 한눈에
CHATBOT
한눈에 보는 오늘의 뉴스
메인 이미지

한눈에 보는 오늘의 뉴스

2025-10-22 11:43

국제 금값 5% 넘게 급락, 12년 만의 최대 낙폭

21일(현지 시각), 사상 최고가 행진을 이어오던 국제 금값이 전일 5% 넘게 급락하며 12년 만의 최대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 종가는 전장 대비 5.7% 하락한 온스당 4,109.1달러로 거래를 마쳤는데요. 올해 들어서만 금값이 60% 가까이 오르면서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진 데다가, 미국 기업들이 3분기 호실적을 발표하면서 위험 선호 심리가 되살아난 것이 하락 요인으로 꼽힙니다.

 

GM, 3분기 깜짝 실적에 주가 15% 급등

21일(현지 시각),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 제너럴모터스가 지난 3분기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을 발표하면서 주가가 전일 대비 15% 급등했습니다. 3분기 이자 및 법인세 차감 전 조정 영업이익(EBIT)이 485억 9천만 달러로, 예상치인 452억 7천만 달러를 웃돌았는데요. 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 관세 타격이 예상보다 줄어든 데다가 수익성이 높은 내연기관 기반 픽업트럭 및 SUV 판매량이 늘어난 것이 호실적의 배경으로 꼽힙니다.

 

넷플릭스, 3분기 이익률 하락에 주가 6% 급락

21일(현지 시각), 넷플릭스가 시장 예상치보다 부진한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주가가 시간 외 거래에서 6.48% 급락했습니다. 넷플릭스의 3분기 영업이익률은 28.2%로 작년 동기(29.6%) 대비 1.4%P 낮아진 것으로 집계됐는데요. 이에 대해 넷플릭스는 2022년부터 이어진 브라질 세무 당국과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지난 분기 예상치 못한 약 6억 1,900만 달러의 비용을 지출한 탓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유류세 한시인하 조치, 2개월 연장

정부가 유류세 한시인하 조치를 올해 12월 31일까지 2개월 연장합니다. 기획재정부는 유가, 물가 동향, 재정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연장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는데요. 다만, 다음 달부터는 휘발유 인하율이 현행 10%에서 7%로, 경유 및 액화석유가스(LPG) 부탄 인하율은 현행 15%에서 10%로 하향 조정되는 등 단계적인 축소가 이뤄집니다.

 

코스피, 겹악재 속에 약세

22일 오전 9시 23분 기준, 코스피가 전 거래일 대비 0.24% 떨어진 3,814.56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미중 정상회담 불발 가능성에 대한 경계심이 커진 데다가 북한이 5개월 만에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면서 불안감을 확대된 영향인데요. 지난밤, 트럼프 대통령은 “어쩌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이) 성사되지 않을 수도 있고 무슨 일이든 일어날 수 있다”라고 여지를 남긴 바 있습니다.

 

LG화학, 헤지펀드 저평가 주장에 신고가

22일 주식시장 개장 직후, LG화학이 10.40% 오른 38만 2천 원까지 오르면서 52주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헤지펀드 팰리서캐피탈이 “LG화학 주식이 국내 대기업 가운데 가장 저조한 수준인 순자산가치 대비 74% 할인된 주가에 거래되고 있다”라며 저평가 주장을 펼친 영향으로 풀이되는데요. 팰리서캐피탈은 LG화학에 대해 LG에너지솔루션 지분 79%의 가치가 모회사 시가총액의 3배에 해당하지만 이를 정당하게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웃 게시글

    프리미엄 비즈니스・경제 콘텐츠로
    어제보다 더 똑똑해진 나를 만나고 싶다면?
    한눈에 보는 실시간 뉴스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