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투자자 관점의 기업 분석을 한눈에
CHATBOT
한눈에 보는 오늘의 뉴스
메인 이미지

한눈에 보는 오늘의 뉴스

2025-10-09 17:12

닛케이지수, 소프트뱅크그룹 주가 상승에 이틀 만에 최고치 경신

일본 닛케이지수가 전일 대비 1.77% 상승하며 48,580으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특히 로봇 사업 인수를 발표한 소프트뱅크그룹의 주가가 11.43% 상승하면서 지수 상승을 주도했는데요. '다카이치 트레이드'와 '인공지능(AI) 붐'에 상승세를 보이는 닛케이지수는 과열된 느낌에도 불구하고 높은 주가가 지속될 것이란 예상이 강합니다.

 

배터리 업계, 각형 및 LFP 기술 전환 가속화

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와 카카오 먹통 사태에서 발화된 배터리가 파우치형 삼원계 배터리로 드러나면서 안전성 문제가 부각됐습니다. 이에 따라 배터리 업계는 각형과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로의 기술 전환을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각형 배터리는 열 발산이 잘 되고 화재 방지 기술 적용이 용이해 안전성을 높일 수 있으며, LFP는 열 폭주 개시 온도가 낮아 화재 위험성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9월 중국인 방한객, 전년 대비 16% 증가

2025년 9월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이 전년 동월 대비 16.4% 증가한 52만 5,396명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휴가철을 맞아 외국인 방한 관광객이 많았던 8월(61만 3,177명)보다는 적은 수치지만, 중국 국경절인 10월 1~8일에도 많은 중국인 관광객이 입국했는데요.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 허용 등 중국인 단체 관광객 유치를 위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는 만큼, 유통 및 관광업계에서는 방한 관광 활성화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단통법 폐지, 지원금 상승 효과 미미

2025년 7월 말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이 폐지됐지만, 휴대전화 구매 지원금은 소폭 상승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9월 조사 결과 통신사가 휴대전화 구매자에게 주는 지원금은 75만 원으로, 올해 6월에 비해 2만 원 정도만 상승한 것인데요. 이에 단통법 폐지 이후 통신사들이 통신 요금에서 제대로 경쟁하도록 당국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뉴욕증시, 셧다운과 거품론에도 상승 마감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와 AI 거품론 우려에도 불구하고 S&P 500 지수와 나스닥 종합지수가 사상 최고치로 마감했습니다. 엔비디아가 AI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며 전 세계적인 AI 투자 분위기를 주도해 S&P 500 지수와 나스닥 종합지수의 상승을 이끌었는데요.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이 장기화 될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엔비디아를 중심으로 한 기술주 강세가 지속되면서 증시는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현대차&기아, 2025년 3분기 실적 악화 전망

미국 관세 부담이 커지면서 현대차와 기아가 2025년 3분기에도 수익성이 크게 악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대차의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6.6% 감소한 2조 6,287억 원, 기아의 영업이익은 22.3% 감소한 2조 2,377억 원으로 전망되는데요. 이는 미국 수입차 관세를 처음으로 전액 부담해야 하는 상황에서 한미 협상 차질로 관세율 인하도 지연되면서 영업이익 감소 폭이 커졌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이웃 게시글

    프리미엄 비즈니스・경제 콘텐츠로
    어제보다 더 똑똑해진 나를 만나고 싶다면?
    한눈에 보는 실시간 뉴스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