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투자자 관점의 기업 분석을 한눈에
CHATBOT
한눈에 보는 오늘의 뉴스
메인 이미지

한눈에 보는 오늘의 뉴스

2025-10-02 12:26

코스피, 연휴 앞두고 3%대 급등

2일 오전 11시 8분, 코스피가 전일 대비 3.02% 오른 3,560.15에 거래 중입니다.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시 업무정지)이 일시적이라는 낙관론이 우세한 데다가 반도체 대형주의 호조에 힘입어 3%대 급등세를 보이는 건데요. 간밤 뉴욕 증시에서 오라클(2.76%), 인텔(7.12%) 등 빅테크가 대부분 상승하면서 투자심리가 강화된 것도 영향을 줬습니다.

 

SK하이닉스, AI 수요 급증 기대감에 40만원 돌파

2일 오전 12시 6분, SK하이닉스가 전일 대비 11.94% 상승해 40만 3천 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전날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서울에서 이재명 대통령을 만나 새로운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하면서 “한국 없이는 AI를 발전시킬 수 없다”라고 밝히는 등 메모리 반도체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 주효했는데요. 전날 뉴욕 증시에서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8.9% 급등하고,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2.1% 오른 것도 호재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9월 소비자물가, 2.1% 상승

국가데이터처가 2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 물가지수는 117.06(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2.1% 올랐습니다. 8월 SK텔레콤 해킹 사태에 따른 요금 인하 효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7%로 둔화했다가 다시 2%대로 올라선 건데요. 특히, 빵(6.5%), 커피(15.6%) 등 가공식품 물가는 4.2% 상승했고, 달걀(9.2%), 돼지고기(6.3%) 등 축산물(5.4%), 고등어(10.7%) 등 수산물(6.4%) 물가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서울 아파트 전세 계약, 6.27대책 이후 30% 급감

수도권과 규제 지역의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한 6.27 대책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 전세 신규 계약이 30%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7월과 8월 서울 아파트 신규 전세 계약은 1만 2,108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 계약 건수(1만 7,396건) 대비 30.4% 감소했는데요. 6.27 대책이 전세를 낀 '갭 투자' 매매를 위축시키자 그 여파가 전세 시장의 공급 부족으로 이어지며 '전세 절벽'이 현실화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금값, 3,900달러 육박하며 사상 최고치

미 연방정부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에 돌입한 1일(현지 시각) 안전자산 수요가 증가하면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이 온스당 3,987.5달러를 기록하며 종가 기준 최고치 기록을 썼습니다. 금 현물 가격도 이날 장중 온스당 3,895.09달러까지 오르며 사상 최고치 기록을 경신했는데요.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진 것도 금값이 이날까지 5거래일 연속 랠리를 이어가게 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미국 상무 장관, 대만에 “칩 절반 미국 생산” 압박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대만에 반도체 절반은 미국에서 생산하자고 압박했지만, 대만 측은 이러한 제안에 응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러트닉 장관은 28일 뉴스네이션과의 인터뷰에서 "나와 현 정부의 목표는 반도체 제조시설을 대폭 국내로 유치해 자체 칩을 생산하는 것"이라며 "대만에 '우리가 절반, 당신들이 절반을 만들어 50대 50으로 나누자'고 제안했다"고 말했는데요. 다만, 대만중앙통신 등에 따르면 정리쥔 대만 행정원 부원장(부총리 격)은 1일 미국에서의 협상을 마치고 귀국하는 공항에서 취재진과 만나 미국 측 제안에 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웃 게시글

    프리미엄 비즈니스・경제 콘텐츠로
    어제보다 더 똑똑해진 나를 만나고 싶다면?
    한눈에 보는 실시간 뉴스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