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보는 주식 정보 플랫폼
한눈에 보는 오늘의 뉴스
메인 이미지

한눈에 보는 오늘의 뉴스

2025-09-22 11:50

이재명 대통령, “한미 관세 문제 조속 해결 목표”

이재명 대통령은 22일 보도된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한국과 미국 간 관세 문제를 가능한 한 조속히 해결하려는 목표를 갖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한미) 통화 스와프 없이 미국이 요구하는 방식으로 3,500억달러를 인출해 전액 현금으로 투자한다면 한국은 1997년 금융위기와 같은 상황에 직면할 것”이라고 우려하기도 했는데요. 이 대통령은 미국과의 무역합의를 문서화한 일본의 외환보유액 규모 등을 설명하며 한국은 일본과 상황이 다르다고도 강조했습니다.

 

두산로보틱스, 미국 로봇설루션 업체 인수 소식에 급등

22일 오전 11시 41분, 두산로보틱스가 전장 대비 7.98% 오른 7만 1,7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미국 로봇설루션 업체 ‘원엑시아’ 지분 89.59%를 374억 원에 취득했다는 사실이 지난 17일 공시된 영향인데요. 이에 앞서 지난 15일에는 로봇 연구개발(R&D) 역량 강화를 위해 '두산로보틱스 이노베이션 센터'의 문을 열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코스피, 장중 오름폭 키워 3,470대 안착

22일 오전 11시 3분, 코스피가 전장 대비 0.91% 오른 3,476.45를 기록했습니다. 장 초반 3,481.96까지 오르면서 지난 19일 기록한 장중 사상 최고치(3,467.89)를 경신하기도 했는데요.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740억 원, 2,289억 원 순매수하며 지수를 끌어 올리고 있고, CJ CGV(5.94%), 두산에너빌리티(2.80%)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집니다.

 

미국 기업이 부담하는 H-1B 비자 수수료, 연간 20조 원

미국 기업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H-1B 비자 수수료 인상으로 부담하게 될 비용이 연간 약 20조 원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지난 19일 트럼프 대통령이 H-1B 비자 수수료를 기존 1천 달러에서 10만 달러로 올리는 포고문에 서명하자, 미 업계가 발칵 뒤집힌 상황인데요. 이에 따라 미 대기업들은 국무부의 공지가 나올 때까지 기다리기로 하고, 일부 기업은 수수료 인상에 맞서 법률적 대응에 나서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9월 1~20일 수출, 조업일수 증가로 13.5% 확대

이달 1~20일 수출이 작년 동기 대비 13.5% 증가한 401억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조업일수 증가 등의 영향으로 수출액이 증가했지만,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4억 3천만 달러로 작년보다 10.6% 줄었는데요.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27.0%), 승용차(14.9%), 선박(46.1%), 무선통신기기(3.3%) 등에선 수출액이 늘었지만, 석유제품(-4.5%) 등은 감소했습니다.

 

2차 소비쿠폰 오늘부터 신청 시작

22일부터 전 국민의 약 90%를 대상으로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시작됩니다. 지원 대상은 가구 합산 소득 하위 90% 시민으로, 올해 6월 건강보험료 가구별 합산액이 선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해당하는데요. 직장가입자 기준으로 1인 가구는 22만 원, 2인 가구 33만 원, 3인 가구 42만 원, 4인 가구 51만 원, 5인 가구 60만 원 이하로 책정됐으며 오전 9시부터는 2차 지급 대상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웃 게시글

    프리미엄 비즈니스・경제 콘텐츠로
    어제보다 더 똑똑해진 나를 만나고 싶다면?
    한눈에 보는 실시간 뉴스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