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보는 주식 정보 플랫폼
한눈에 보는 오늘의 뉴스
메인 이미지

한눈에 보는 오늘의 뉴스

2025-09-01 11:43

코스피, 미국 기술주 급락에 약세

1일, 코스피가 중국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 알리바바가 촉발한 미국 기술주 급락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장 초반 3,150대로 밀려났습니다. SK하이닉스는 전일 대비 3.9% 하락하면서 26만 원 선을 내줬는데요. 지난주 말, 중국 정부가 자국 내 공공 데이터센터의 칩 절반 이상을 국산화할 것을 요구하는 가운데 알리바바가 자체적으로 차세대 인공지능(AI) 칩을 개발해 시험 중이란 소식이 전해지며 뉴욕 증시가 약세를 보였습니다.

 

카카오, 김범수 중형 구형에 하락

1일, 검찰이 김범수 카카오 창업주에 대해 징역 15년의 중형을 구형하면서 카카오 계열사 주가가 장 초반 하락세를 보입니다. 이날 오전 9시 29분, 카카오는 전 거래일 대비 3.68% 내린 6만 2천 원에 거래되고 있고, 카카오페이(-4.52%), 카카오뱅크(-2.03%) 등도 하락했는데요. 김 창업주는 2023년 2월 SM엔터테인먼트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경쟁사인 하이브의 공개매수를 방해하기 위해 주가를 공개매수가보다 높게 고정하는 방식으로 시세를 조종한 혐의를 받습니다.

 

8월 수출, 미국 관세 여파에도 1.3% 증가

미국 관세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8월 수출액은 584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작년 동월 대비 27.1% 증가하며 사상 최대 실적 기록을 경신했고, 자동차(8.6%), 선박(11.8%) 수출도 늘었는데요. 국가별로는 대미 수출이 관세 여파로 12.0% 감소했고, 대중 수출은 -2.9% 소폭 줄었지만, 아세안 수출은 11.9% 증가했습니다.

 

가구 먹거리 지출, 9년 만에 최저

올해 2분기 가구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소비지출은 1년 전보다 1.8% 늘었지만, 물가 상승분을 제외한 실질 소비지출(34만 1천 원)은 1.0% 감소했습니다. 이는 물가 상승을 감안하면 먹거리 관련 지출 액수가 줄었다는 뜻으로, 소비량을 크게 줄이는 대신 더 싼 대체품을 소비했을 가능성이 큰데요. 폭우 및 폭염 등 이상 기후에 가공식품 출고가 인상까지 겹치면서 먹거리를 중심으로 고물가 현상이 장기간 이어진 탓입니다.

 

면세점, 인당 구매액 30만 원대로 떨어지며 업황 부진

최근 외국인 관광객이 크게 늘면서 고객 수가 증가했음에도, 지난 7월 면세점 매출액은 작년 동기 대비 8.6% 낮은 9,199억 4,652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핵심 쇼핑 명소에 있는 올리브영 등의 매장들이 외국인 관광객을 위해 체험존을 운영하고, 결제 편의성을 제공하면서, 면세점의 매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데요. 면세점 업황 부진이 이어지면서 면세 사업자와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임대료 조정을 두고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미국 중산층, 경제 심리 급격히 악화

미국의 중산층이 8월 들어 경제 상황에 대해 급격히 비관적인 견해를 보입니다.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6~7월 무역 협상 진전과 증시 랠리에 힘입어 상승했지만, 관세 부과가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이어질 거란 전망에 힘이 실리면서 8월엔 전월 대비 5.7% 반락했는데요. 특히, 연 소득 5~10만 달러 구간의 가계 심리가 최근 들어 급격히 악화했다는 사실이 관련 통계를 통해 확인됐습니다.

    이웃 게시글

    프리미엄 비즈니스・경제 콘텐츠로
    어제보다 더 똑똑해진 나를 만나고 싶다면?
    한눈에 보는 실시간 뉴스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