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보는 주식 정보 플랫폼
한눈에 보는 오늘의 뉴스
메인 이미지

한눈에 보는 오늘의 뉴스

2025-08-04 17:37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T 등, ‘국내 AI’ 도전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 NC AI, LG AI연구원이 정부의 지원 속에서 우리나라를 대표할 인공지능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기로 했습니다. 선발된 5개 정예 팀은 국가기록원, 통계청 등 기관 데이터를 공동 구매하거나 개별 구출할 수 있으며 1,576억 원 규모의 GPU 등을 지원받을 예정인데요. 정부는 연내 AI 개발 결과물 평가를 위해 정예 팀 모델 특징을 고려한 평가지표 데이터셋과 리더보드의 시범 구축도 추진합니다.

 

코스피, 저가 매수세에 3,140대 회복

4일, 코스피가 저가 매수세에 힘입어 전 거래일 대비 0.91% 오른 3,147.75에 장을 마쳤습니다. 장 초반에는 미국 고용 지표 악화로 인해 경기 둔화 우려가 커져, 상승 폭이 제한됐는데요. 다행히 원/달러 환율이 1,400원 대 아래로 안정된 데다, 직전 거래일 코스피 낙폭이 컸던 만큼 저가 매수세가 유입돼 3,140대를 회복했습니다.

 

참여연대, “국민 62%가 국가 부채 늘리는 감세에 반대”

참여연대 조세재정개혁센터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2.1%가 국가부채를 늘리더라도 세금 부담을 줄이는 정책에 반대했습니다. 복지 확대를 위한 증세 시 인상할 세금으로는 응답자의 34%가 법인세를 고르고, 29.4%가 종합부동산세를 선택했는데요. 센터는 “시민들이 전반적으로 윤석열 정부의 부자 감세를 비판하며 법인세와 종합부동산세를 복원하는 게 우선이라는 인식을 보였다”라며 세입 기반 및 재정 확충의 필요성을 언급했습니다.

 

김정관 장관-최태원 회장, 면담 통해 관세 협상 후속 논의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4일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과 만나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대한 감사를 전하고, 관세 영향 최소화를 위한 정부-기업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최 회장은 "디테일을 조금 더 가져주시고, 우리의 산업 전략과 지금의 대미 관세로부터 통상에 대한 환경까지 잘 맞춰 새로운 산업 지도와 환경을 조성해 주길 바란다"라고 당부했는데요. 김 장관은 노동조합법 및 상법 개정한에 대해 기업 부담을 줄이기 위한 대안을 마련하고, 관련 TF를 통해 경제계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올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액, 79조 원 육박

올해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액이 567억 달러(약 78조 6,666억 원)로 전년 대비 5.5% 증가하며 7분기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습니다. 품목별로는 화장품이 수출액 39억 4천만 달러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자동차(39억 2천만 달러)가 뒤를 이었는데요. 미국(93억 9천만 달러)과 대만(15억 8천만 달러)이 주요 수출국으로 떠올랐고, 온라인 수출도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하며 5억 3천만 달러를 달성했습니다.

 

애플, 챗봇 AI 위한 신규 전담팀 구성

애플이 올해 초 자체 팀을 구성해 답변형 AI 모델과 검색 경험을 개발 중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애플은 작년 자체 AI 시스템 '애플 인텔리전스'를 출시하며 자체 개발 챗봇은 없을 것이라고 밝히는 등 그간 챗봇 도입에 회의적인 태도를 보여 왔는데요. 시리나 애플 인텔리전스에 대한 소비자 평가가 좋지 않게 나타난 점, 최근 챗GPT와 같은 챗봇이 전 세계 수억 명의 사용자에게 인기를 얻은 점 등이 변화 요인으로 꼽힙니다.

    이웃 게시글

    프리미엄 비즈니스・경제 콘텐츠로
    어제보다 더 똑똑해진 나를 만나고 싶다면?
    한눈에 보는 실시간 뉴스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