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보는 주식 정보 플랫폼
한눈에 보는 오늘의 뉴스
메인 이미지

한눈에 보는 오늘의 뉴스

2025-04-11 11:42

달러 가치, 2022년 이후 최대폭 하락

2025년 4월 10일(현지 시각),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가 1.83% 하락하며 2022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급락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달러화 등 안전자산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 것과 달리 안전자산으로의 회피 현상이 나타나지 않은 건데요.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러한 달러화 움직임이 이례적이라며, 글로벌 투자자들이 미국을 바라보는 시각이 변화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전 세계 컨테이너 예약, 트럼프 관세 여파에 반토막

2025년 4월 1일부터 8일까지 전 세계 컨테이너 예약이 직전 7일 대비 49% 급감하며 세계 무역이 둔화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교역 상대국에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한다고 발표했지만, 여러 불확실성 속에서 기업들이 신중한 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되는데요. 시장에서는 무역 불확실성이 기업과 시장에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미국과 중국 간 무역은 전면 중단되는 수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애플 및 주요 기술주 주가, 미중 관세전쟁 격화로 급락

애플 주가가 27년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한 바로 다음 날, 전 거래일 대비 4.24% 하락한 190.42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에 중국이 보복 관세로 맞섰고, 이에 미국이 다시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며 양국 간 관세전쟁이 격화된 영향인데요. 같은 날 테슬라 주가도 7.27% 급락했고, 엔비디아와 메타의 주가도 각각 5.91%, 6.74% 하락하며 주요 대형 기술주 전반이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아마존 CEO, "일부 판매자, 소비자에 관세 부담 전가할 수도"

앤디 재시 아마존 CEO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관련해 "지금은 매우 유동적인 상황이어서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 예측하기 어렵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부 제품의 재고를 미리 확보했다면서도, 온라인 판매자들이 관세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 있다며 가격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는데요. 한편, 인공지능 투자와 관련해서는 관세의 영향이 없을 것이라며, 계속해서 데이터 센터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이마트, 1분기 호실적 및 내수부양 기대에 장 초반 강세

2025년 4월 11일, 이마트가 1분기 호실적과 정부의 내수부양 기대에 힘입어 장 초반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오전 9시 19분 기준, 이마트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9% 상승한 8만 5,900원에 거래됐는데요. 미국과 중국 간 관세 전쟁 격화로 코스피 지수가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이마트는 고강도 관세 정책의 영향을 적게 받는 내수주로 분류되며 투자 매력이 상승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챗GPT, 개인 맞춤형 응답 위한 메모리 기능 도입

오픈AI가 챗GPT에 사용자의 이전 대화를 기억해 더 개인화되고 자연스러운 답변을 제공하는 새로운 메모리 기능을 도입한다고 밝혔습니다. 기존에는 사용자가 챗GPT에 기억해달라고 직접 입력을 해야 했지만, 새 기능은 챗GPT가 대화 맥락을 기억하기 때문에 같은 질문을 반복할 필요가 없는데요. 해당 기능은 챗GPT 프로와 플러스 등 유료 사용자에게 우선 제공되며, 영국과 유럽연합 등 일부 지역에서는 현지 규제에 따라 추후 도입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