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보는 주식 정보 플랫폼
미국 금리 0.25%P 인하, 연내 추가 인하 전망은?
메인 이미지

미국 금리 0.25%P 인하, 연내 추가 인하 전망은?

Byte
모니모뉴스2025-09-18

9월 17일(현지 시각),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기준금리를 4.00~4.25%로 0.25%P 인하했어요. 지난해 12월 이후 다섯 번의 동결 끝에 처음으로 금리를 내린 것인데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첫 금리 인하이기도 하죠. 이번 결정은 경기 둔화와 고용시장 약화 신호를 반영한 것으로, 연내 추가 인하 가능성까지 열어둔 점이 주목돼요.

 

트럼프 요구에도 ‘빅컷’ 대신 0.25%P 인하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연준을 향해 큰 폭의 금리 인하를 거듭 압박해왔지만, 이번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는 다수 위원이 0.25%P 인하에 표를 던졌어요.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임명한 스티븐 마이런 신임 이사는 취임 직후 참석한 첫 회의에서 0.50%P 인하를 주장하며 반대표를 행사했는데요. 이로써 연준은 두 차례 연속 만장일치 결정을 내지 못했어요.

 

점도표는 연내 추가 인하 시사, 그러나 전망은 엇갈려

연준이 이날 공개한 경제전망 점도표에 따르면, 연준 위원들이 예상하는 올해 말 금리 중간값은 3.6%로 기존 전망치(3.9%)보다 다소 낮아졌어요. 연내 두 차례 정도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건데요. 위원 19명 중 12명이 올해 안에 추가 인하를 예상했으며, 이 가운데 9명은 0.5%P 인하를, 2명은 0.25%P 인하를 전망했어요. 스티브 마이런 이사로 추정되는 한 위원은 1.25%P 추가 인하를 예상하기도 했죠. 그러나 나머지 7명은 현 수준(4.00~4.25%) 유지 또는 더 높은 금리를 전망해 의견이 분산됐어요. 또, 내년(2026년) 말 예상 금리 중간값은 3.4%로, 단 한 차례 추가 인하 가능성만 반영돼 있어 시장 기대보다 보수적인 전망이 나왔다는 평가예요.

 

파월, 관세발 물가 부담 경고하며 ‘신중론’ 강조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번 인하 배경으로 고용 시장의 악화 가능성을 꼽으면서도, “경제가 나쁜 것은 아니다”라며 큰 폭의 인하는 불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어요. 이번 회의에서 "0.5%P 인하에 대한 광범위한 지지가 전혀 없었다"라고 설명했는데요. 이어 파월 의장은 관세 정책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상품 가격 상승이 올해 인플레이션 상승의 대부분을 설명한다"라며, 이러한 효과가 올해와 내년까지 누적될 것이라고 진단했어요. 또, 최근 이민 제한으로 노동 공급이 줄고, 동시에 경기 둔화로 고용 수요도 감소하는 ‘독특한 균형’(curious balance)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죠.

이웃 게시글

프리미엄 비즈니스・경제 콘텐츠로
어제보다 더 똑똑해진 나를 만나고 싶다면?
모니모뉴스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