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때 아닌 양적완화 논란
지난달 30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한 금융 심포지엄 환영사에서 "정책금리가 제로 수준에 근접하게 되면 양적완화와 같은 대차대조표 확대 정책의 도입 가능성을 고민할 시점"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발언은 곧바로 언론을 통해 양적완화 도입 검토로 해석됐고, 국고채 금리가 급락하는 등 금융시장은 민감하게 반응했죠.
자산시장에는 조기 유동성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퍼졌고, 부동산 커뮤니티를 중심으로도 지금이라도 집을 사야 한다는 심리가 빠르게 확산했습니다. 정권 교체 시기와 맞물려 중앙은행이 보다 유연한 통화정책을 펼칠 것이라는 기대도 더해졌죠. 이처럼 한국은행 총재의 양적완화 언급은 금리, 자산, 환율을 아우르는 시장 전반에 걸친 즉각적인 반응으로 이어졌습니다.
논란이 커지자, 한국은행은 즉시 해명자료를 배포하며 "현재 양적완화를 검토하고 있지 않다"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그러나 한번 움직이기 시작한 시장은 단순 해명으로 가라앉지 않았고, 언론과 금융계는 '시장이 이미 방향을 정한 것'이라는 해석까지 등장하는 등 논란은 이어졌습니다.
👀 오해가 커진 이유는
이 총재의 발언이 더욱 논란이 된 건 발언 시점도 큰 영향을 줬습니다. 이 총재는 장기 유럽 출장을 앞둔 상황이었고, 그날 열린 심포지엄의 주제는 '공개시장 운영의 향후 방향'과 '주요국 대차대조표 정책'이었죠. 이는 단순히 학술적 행사를 넘어 실제 정책과 연계된 시사점을 담은 자리로 해석될 여지가 컸습니다.
게다가 당시 국내외 경제 상황도 불안정했습니다. 한국은 1분기 -0.2% 성장하며 역성장했고, 미국도 -0.3% 성장으로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글로벌 경기 둔화 조짐이 뚜렷했습니다. 이런 국면에서 통화정책에 대한 이 총재의 발언은 더욱 무게감 있게 느껴질 수밖에 없었는데요. 제로금리를 전제로 한 언급이었지만, 시장은 한국은행이 양적완화로 정책 여지를 넓히려 한다고 받아들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