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핵심만 콕콕
- 361만 유튜버 '슈카월드'가 990원 소금빵을 출시해 논란입니다.
- 자칫 자영업자가 폭리를 취하는 것처럼 비친다는 지적이 나오는데요.
- 이에 슈카월드는 빵값의 구조적 문제를 이야기하려 했던 것이라며 사과했습니다.
990원, 파격가 소금빵의 등장
🥐 990원 소금빵 논란?: 구독자 361만 명을 보유한 유튜버 슈카월드가 990원 소금빵을 출시해 화제가 됐습니다. 슈카월드는 지난달 30일, 서울 성수동 글로우서울에서 'ETF 베이커리' 팝업스토어를 열고 소금빵·베이글·바게트 등을 990원에 판매했는데요. 이외에도 식빵(1,990원), 치아바타(3,490원), 복숭아 케이크(8,900원)를 포함해 총 35종의 빵과 케이크를 시중가보다 저렴하게 내놨습니다. 통상 소금빵이 3,000원, 복숭아 케이크가 3만 8,000원에 판매되는 것을 감안하면 매우 싼 가격이죠.
📉 빵플레이션 완화가 목적!: 슈카월드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 '슈카월드 코믹스'에서 "빵값이 미쳐 날뛰고 있다"라며 "가격이 낮은 빵을 만들어 본다면 시장을 흔들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라고 기획 의도를 밝혔습니다. 저렴한 가격에 빵을 대량으로 공급하면 빵값 인플레이션 완화에 기여하는 동시에, 베이커리 시장 확대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한 건데요. 통계청에 따르면 8월 빵 소비자물가지수(CPI)는 138.48로, 2020년 대비 38.5% 오른 상태입니다.
💰 빵 가격, 이렇게 낮췄다: 저렴한 가격의 비결은 유통비와 부대 비용 절감에 있습니다. 슈카월드는 "원재료를 산지 직송 방식으로 공급받아 유통비를 줄이고, 빵 모양과 포장을 단순화해 비용을 절감했다"라고 말했는데요. 원가에 일정 비율의 마진율을 붙여 빵값을 정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마진액을 더해 가격을 정했습니다. 이 경우, 원가가 오르더라도 빵값이 오르지 않게 되죠. ETF 베이커리는 저렴한 가격에 힘입어 개점 첫날부터 인산인해를 이뤘고, 팝업스토어 앞에는 긴 대기 행렬이 이어지며 오픈 몇 시간 만에 완판됐죠.
빵 가격 인하, 사실상 불가능?
😡 폭리 논란에 억울한 자영업자: 소비자들 사이에서 기존 빵 가격이 거품이었다는 목소리가 나오자, 베이커리 자영업자 커뮤니티에서는 마치 자영업자들이 폭리를 취하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는 비판이 제기됐습니다. 자영업자는 임대료·화재보험료·인건비 등 고정비 부담이 커 빵값을 쉽게 낮출 수 없는데 폭리를 취하려 한다는 오해를 살 수 있다는 주장이죠. 공정거래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베이커리 인건비는 빵 제조 원가 중 28.7%로, 실제로 식품 제조업 평균(8.1%)을 크게 웃도는 수준입니다.
🌾 원재료 가격도 변수: 원재료를 저렴하게 공급받기 힘들다는 점도 높은 빵 가격의 원인 중 하나입니다. 빵 제조는 밀가루 등 핵심 원재료 대부분을 수입하는 구조인데요. 특히 밀은 99%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는지라 국제 곡물 가격과 환율 변동 등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국내 밀가루 CPI는 2023년 138.55로, 2020년 대비 38.55% 상승하며 빵 가격과 상승률이 비슷했죠. 여기에 유통구조도 복잡하다보니 자영업자들은 단기 팝업스토어처럼 대량 생산을 통해 원가를 낮추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
💸 한국 빵값, 비싼 건 맞다?: 다만, 일각에서는 한국의 빵값이 비싼 것은 맞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국가·도시 비교 통계사이트 '넘베오'(Numbeo)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한국의 식빵 평균 가격은 3.06달러(약 4,200원)로 전 세계 124개국 중 8위입니다. 영국(2.63달러), 캐나다(2.71달러), 스웨덴(3.01달러) 등 주요 선진국보다도 높은 수준인데요. GDP 규모가 비슷한 일본(1.43달러)과 비교하면 두 배가 넘는 가격이죠.
팝업스토어 둘러싼 논란, 슈카월드의 입장은
🤔 팝업스토어, 홍보성 이벤트 아니야?: 한편, 슈카월드와 협업한 글로우서울의 소금빵은 정작 3,000원에 판매 중이라 이번 슈카월드의 팝업스토어가 사실상 홍보성 이벤트가 아니냐는 지적도 나옵니다. 글로우서울이 최근 기업공개(IPO)를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인데요. 이에 슈카월드는 "글로우서울 주식을 보유하지도 않았고 관련자도 아니다"라며 IPO 추진 사실조차 몰랐다고 해명했지만, 증권사 출신의 경제 유튜버가 이를 몰랐을 리 없다는 비판도 제기됩니다.
기업공개(Initial Public Offering, IPO): 기업이 주식시장에 공식적으로 상장하는 것을 말합니다. 코스피나 코스닥 등 주식 시장에 이름을 올리는 것인데요. 주식시장 상장을 위해서는 경영 방식, 회계 등 내부 정보를 공개하고, 주식을 공개된 시장에 내놓아야 하기에 기업공개라고 불립니다.
🍞 자영업자를 비난하려던 게 아니야: 빵값을 둘러싼 논란이 커지자 지난 8월 31일, 슈카월드는 유튜브 라이브 방송을 통해 "자영업자를 비난한 적은 한 번도 없다"라며 "빵값의 구조적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려던 것인데 다른 방향으로 해석돼 안타깝다"라고 사과했습니다. 또한 자영업자들이 타격을 입었다는 의견을 받아들여 마가린과 버터를 함께 사용한 990원의 소금빵과 버터만 사용한 1,290원 소금빵을 함께 판매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이어 현재는 팝업스토어 형태지만 지속 가능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향후 가격을 조정할 수도 있다는 입장도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