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률 목표치는 왜 하필 2%일까?
메인 이미지
© Fed

물가상승률 목표치는 왜 하필 2%일까?

세계는 여전히 인플레이션과 치열한 싸움 중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높게 오른 물가는 아직도 쉽게 떨어질 생각을 하는데요. 원래 오른 물가는 내려가지 않는 특징이 있는데, 어려운 말로 이를 물가의 '하방경직성'이라고 합니다. 혹은 인플레이션이 매우 끈적한(sticky) 속성을 가지고 있다고도 하죠. 이런 끈적한 물가를 끌어내리는 주요 정책 수단이 금리입니다. 미국의 연방준비제도(연준) 우리나라의 한국은행 각국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꾸준히 올린 높게 유지해 물가상승률을 끌어내리는 중입니다. 금리가 높아지면 사람들은 돈을 빌리기 어려워지고, 시중에 풀린 돈이 줄어들며 물가상승률도 자연스럽게 낮아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런데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표나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발표를 보다 보면 궁금한 지점이 생깁니다. 하필 각국 중앙은행의 물가상승률 목표치는 일관되게 2%일까요?  , 각국 중앙은행은 이런 물가상승률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 어떻게 금리를 조절하는 걸까요? 오늘 <상식 한입>에선 물가안정목표제(Inflation Targeting) 적절한 금리 수준을 알아보려 합니다.

 

물가상승률을 관리하는 중앙은행

물가상승률 관리는 중요할까?: 안정적인 경제 성장을 위해선 물가를 적절한 수준으로 관리하는 필수적입니다. 경제가 성장하면서 물가는 꾸준히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 2000년에는 2,500 수준이던 자장면 가격이 어느새 7,000원을 훌쩍 넘어선 대표적이죠. 그런데 문제는 물가가 너무 크게 오르거나 내리는 것입니다. 경제가 과열되거나, 원자재 가격이 올라 물가가 급등(인플레이션)하면 화폐 가치가 떨어지고, 사람들의 구매력이 낮아지면서 경제가 쪼그라들 있습니다. 반대로 물가가 크게 내리면(디플레이션) 사람들이 소비를 뒤로 미루면서 경기가 침체하는 문제가 생기죠. 따라서 물가상승률이 너무 높지도, 낮지도 않게 조절하는 것이 현대 중앙은행의 가장 중요한 과제입니다.

이웃 게시글

프리미엄 비즈니스・경제 콘텐츠로
어제보다 더 똑똑해진 나를 만나고 싶다면?